develop/JSP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내장 객체 - session, application,pageContext,로그인 어쩌고 저쩌고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 내장객체는 서버의 정보를 저장하고, 서버가 동작해야 어플리케이션 내장객체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기억장소를 할당한다. 보통 서버의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를 멈추면 기억장소도 바로 해제된다. 서버정보 : 서버의 물리적인 경로 : pageContext 현페이지 정보를 저장하는 내장객체 페이지가 보이면 만들어지고 다음 페이지로 바뀌면 사라짐. session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 정보를 저장한 객체다.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하러 갈 때, 서버와 연결이 되면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session이라는 내장객체가 생성된다(기억장소가 할당) 서버에서 세션 기억장소를 없애는 법 1. 30분동안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작업이 없다 => 세션 기억장소가 없어짐(해제) 2. 브라우저를 모.. 내장 객체 - request,response,out jsp에서 주석은 1.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주소 입력 => 서버 동작 원리 이해 사용자, 클라이언트, 유저 웹브라우저 주소 입력 => 서버에 test.html 보고싶다고 요청 앞잡이 http가 신호를 들고 localhost : 8080 도착 서버 test.html 찾아서 사용자 응답 http가 응답 정보를 들고 사용자에게 도착 사용자 => 웹서버(아파치) => 웹애플리케이션서버(WAS, 톰캣, 웹컨테이너, 컨테이너) 사용자,클라이언트,유저가 웹브라우저 주소를 입력한다. => 서버에다가 a.jsp가 보고싶다고 요청 앞잡이 http가 신호를 들고 서버 localhost : 8080 도착 서버 a2.jsp 찾아서 사용자에게 갖다주려고 보니 브라우저가 바로 실행할 수 없는 파일인 것을 알게됨. 그래서 브라우저가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