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액트의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컴포넌트
컴퍼넌트는 js와 비슷한데 props라는 인자를 입력 받아 화면에 어떻게 나타날지 기술하는
react 엘리먼트를 반환ㄹ한다.
모든 리액트의 컴포넌트는 자신의 Props를 다룰 때 반드시 순수 함수처럼 동작해야 함.
state는 props와 유사하지만, 은닉되어 있으며 컴포넌트에 의해 제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.
java에서 생성자랑 비슷한거같음...state는
props는 읽기 전용이고 컴포넌트 외부에 있음 그리고 수정할 수 없다.
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것
class App extends Component {
render() {
return(
<Subject title="React" content="react is ......"/>;
//title과 content에 해당하는게 props
)
}
}
//Subject.js
class Subject extends Component{
render(){
return(
<h1>{props.title}</h1>
{props.content}
)
}
}
export default Subject;
//외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
state는 컴포넌트 내에서 만들어지며 이벤트를 통해 변경할 수 있음. => setState
추후 수정 예정... ㅋㅋㅋㅋ 대충 감은 오는데
'develop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: public 폴더 이미지 절대경로로 사용하기 (0) | 2021.10.01 |
---|---|
React : useRef() 사용 (0) | 2021.09.27 |
React 4: 함수형과 클래스형 (0) | 2021.08.22 |
React 3 : CRUD (0) | 2021.07.20 |
React 1 : 컴포넌트(Component) (0) | 2021.07.18 |